제목 : 우리의 사명을 바로 알아야 한다.
본문 : 요한복음 20:19~31
19. ○이 날 곧 안식 후 첫날 저녁 때에 제자들이 유대인들을 두려워하여 모인 곳의 문들을 닫았더니 예수께서 오사 가운데 서서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20. 이 말씀을 하시고 손과 옆구리를 보이시니 제자들이 주를 보고 기뻐하더라
21. 예수께서 또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
22. 이 말씀을 하시고 그들을 향하사 숨을 내쉬며 이르시되 성령을 받으라
23.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사하면 사하여질 것이요 누구의 죄든지 그대로 두면 그대로 있으리라 하시니라
24. ○열두 제자 중의 하나로서 디두모라 불리는 도마는 예수께서 오셨을 때에 함께 있지 아니한지라
25. 다른 제자들이 그에게 이르되 우리가 주를 보았노라 하니 도마가 이르되 내가 그의 손의 못 자국을 보며 내 손가락을 그 못 자국에 넣으며 내 손을 그 옆구리에 넣어 보지 않고는 믿지 아니하겠노라 하니라
26. ○여드레를 지나서 제자들이 다시 집 안에 있을 때에 도마도 함께 있고 문들이 닫혔는데 예수께서 오사 가운데 서서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하시고
27. 도마에게 이르시되 네 손가락을 이리 내밀어 내 손을 보고 네 손을 내밀어 내 옆구리에 넣어 보라 그리하여 믿음 없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라
28. 도마가 대답하여 이르되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
29.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는 나를 본 고로 믿느냐 보지 못하고 믿는 자들은 복되도다 하시니라
30.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으나
31.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묵상 :
본문 23절.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사하면 사하여질 것이요 누구의 죄든지 그대로 두면 그대로 있으리라 하시니라”
이 말씀을 마치 제자들에게 죄를 사할 수 있는 능력을 주신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죄를 사하실 수 있는 분은 오직 예수님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말씀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믿는 자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귄리와 복음을 전해야 하는 사명이 있다.
믿는 자가 복음을 전하는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몰랐던 자들이 주님을 알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시인한다면 주께서 그의 죄를 사하여 주시는 것이다.
믿음의 사람들은 그 사실을 선포할 수 있다.
진정으로 주님을 구주로 받아들여 믿음의 사람으로 거듭난 자들에게 죄에서 자유를 얻게 되었음을 선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먼저 믿은 자들이 믿지 않는 자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죄 사함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람들의 죄를 그대로 두는 것과도 같은 일이다.
우리는 우리의 사명을 분명하고 인식하고 확실하게 알아야 한다.
우리의 사명은 복음을 전하는 것이다.
복음을 받아들인 자에게 죄 사함 받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교만한 자들이 주님의 말씀을 자기 멋대로 해석하고 있다.
마치 자신에게 죄를 사할 수 있는 권세라도 있는 것처럼 성도들을 협박한다.
자기 말 안 듣고 까불면 죄 사함을 받지 못한다고 겁을 준다.
그런 자들에게 귀 기울일 필요가 없다.
그들에게서 과감하게 떠나야 한다.
오직 예수님의 말씀에 귀 기울여야 한다.
오직 주님께로 나아가야 한다.
설교가 아닌 개인의 묵상입니다.
💒온라인교회, '사람이교회'와 함께하기 원하시는 분은 아래 메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saramichurch@naver.com
'말씀묵상(신약) > 43 요한복음 묵상(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것을 아시오매...(요한복음 21:15-25) (1) | 2024.10.02 |
---|---|
그물을 배 오른편에 던지라.(요한복음 21:1-14) (0) | 2024.10.01 |
빈 무덤을 보았다.(요한복음 20:1-18) (1) | 2024.08.28 |
아리마대 사람 요셉.(요한복음 19:31-42) (0) | 2024.08.22 |
하나님의 아들은 사람의 아들이 되었다.(요한복음 19:17-30) (0) | 2024.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