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씀 묵상(구약)/14 역대하 묵상11

성전, 성전의 도구, 그 본질.(역대하 4:1-22) 제목 : 성전, 성전의 도구, 그 본질. 본문 : 역대하 4:1~221. 솔로몬이 또 놋으로 제단을 만들었으니 길이가 이십 규빗이요 너비가 이십 규빗이요 높이가 십 규빗이며2. 또 놋을 부어 바다를 만들었으니 지름이 십 규빗이요 그 모양이 둥글며 그 높이는 다섯 규빗이요 주위는 삼십 규빗 길이의 줄을 두를 만하며3. 그 가장자리 아래에는 돌아가며 소 형상이 있는데 각 규빗에 소가 열 마리씩 있어서 바다 주위에 둘렸으니 그 소는 바다를 부어 만들 때에 두 줄로 부어 만들었으며4. 그 바다를 놋쇠 황소 열두 마리가 받쳤으니 세 마리는 북쪽을 향하였고 세 마리는 서쪽을 향하였고 세 마리는 남쪽을 향하였고 세 마리는 동쪽을 향하였으며 바다를 그 위에 놓았고 소의 엉덩이는 다 안으로 향하였으며5. 바다의 두께는 .. 2024. 8. 22.
성전의 목적을 기억하자.(역대하 3:1-17) 제목 : 성전의 목적을 기억하자. 본문 : 역대하 3:1~171.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그 곳은 전에 여호와께서 그의 아버지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이요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다윗이 정한 곳이라2. 솔로몬이 왕위에 오른 지 넷째 해 둘째 달 둘째 날 건축을 시작하였더라3. 솔로몬이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놓은 지대는 이러하니 옛날에 쓰던 자로 길이가 육십 규빗이요 너비가 이십 규빗이며4. 그 성전 앞에 있는 낭실의 길이가 성전의 너비와 같이 이십 규빗이요 높이가 백이십 규빗이니 안에는 순금으로 입혔으며5. 그 대전 천장은 잣나무로 만들고 또 순금으로 입히고 그 위에 종려나무와 사슬 형상을 새겼고6. 또 보석으로 성전을 꾸며 화려하게 하였으니 그 금은 바르와.. 2024. 8. 20.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역대하 2:1-18) 제목 :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본문 : 역대하 2:1~18 1. 솔로몬이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고 자기 왕위를 위하여 궁궐 건축하기를 결심하니라 2. 솔로몬이 이에 짐꾼 칠만 명과 산에서 돌을 떠낼 자 팔만 명과 일을 감독할 자 삼천 육백 명을 뽑고 3. 솔로몬이 사절을 두로 왕 후람에게 보내어 이르되 당신이 전에 내 아버지 다윗에게 백향목을 보내어 그가 거주하실 궁궐을 건축하게 한 것 같이 내게도 그리 하소서 4. 이제 내가 나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여 구별하여 드리고 주 앞에서 향 재료를 사르며 항상 떡을 차려 놓으며 안식일과 초하루와 우리 하나님 여호와의 절기에 아침 저녁으로 번제를 드리려 하오니 이는 이스라엘의 영원한 규례니이다 5. 내가 건축하고자 하는.. 2023. 12. 18.
하나님께 구하는 것의 목적.(역대하 1:1-17) 제목 : 하나님께 구하는 것의 목적. 본문 : 역대하 1:1~17 1. 다윗의 아들 솔로몬의 왕위가 견고하여 가며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사 심히 창대하게 하시니라 2. 솔로몬이 온 이스라엘의 천부장들과 백부장들과 재판관들과 온 이스라엘의 방백들과 족장들에게 명령하여 3. 솔로몬이 온 회중과 함께 기브온 산당으로 갔으니 하나님의 회막 곧 여호와의 종 모세가 광야에서 지은 것이 거기에 있음이라 4. 다윗이 전에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의 궤를 위하여 장막을 쳐 두었으므로 그 궤는 다윗이 이미 기럇여아림에서부터 그것을 위하여 준비한 곳으로 메어 올렸고 5. 옛적에 훌의 손자 우리의 아들 브살렐이 지은 놋제단은 여호와의 장막 앞에 있더라 솔로몬이 회중과 더불어 나아가서 6. 여호와 앞 곧 회막 앞에 있.. 2023. 12. 7.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역대하 29:1~19) - 건작동 말씀 묵상 2020. 12. 8(화) 말씀 묵상. 본문 : 역대하 29:1~19 제목 : ‘가장 먼저 해야 할 것’ #말씀묵상 #새벽묵상 #건작동말씀묵상 2020. 12. 9.
최악을 보여준 아하스(역대하 28:16~27) - 건작동 말씀 묵상 2020. 12. 7(월) 말씀 묵상. 본문 : 역대하 28:16~27 제목 : ‘최악을 보여준 아하스’ #말씀묵상 #새벽묵상 #건작동말씀묵상 2020.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