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자료22

세대주의 신학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4. 1.
12월 25일이 어떻게 예수님의 탄생일이 되었나? 크리스마스 Christ(그리스도)를 이름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는 크리스토스(Christos)라는 그리스어 호칭을 번역한 말이다. 크리스토스는 히브리어의 ‘메시아’ 를 옮긴것으로, 100.daum.net 2019. 12. 21.
침례교 사람들 7. 비신조의 사람들(신앙고백의 사람들) (Photo : ⓒ 침례교신학대학교) ▲김승진 교수 (침례신학대학교 교회사 명예교수) 침례교인들은 대체로 공적인 예배에서 "사도신경"(Apostles' Creed)을 암송하지 않는다. 한국기독교계에서 한 때는 침례교인들이 공예배에서 사도신경을 암송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침례교회를 이단시하기도 했었다. 침례교인들은 기본적으로 신조를 배격하는 "비신조의 사람들"(Non-creedal People)이다. 침례교인들은 66권의 구신약 성경만을 최종적인 권위로 여기고, 인간들이 만들어 낸 신조(Creed, 신경)에 대해 무오성과 영원성과 최종성 등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다. 침례교인들은 "신앙고백의 사람들"(People of Confessions)이다. 침례교인들은 각 시대.. 2018. 2. 6.
교회세습에 관한 Q&A 자료출처 -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 (홈페이지 바로가기) 2017. 11. 15.
한국교회세습지도 한국교회세습지도(2017년 11월 현재) 사진출처 -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 (홈페이지 바로가기) 2017. 11. 14.
갈라디아서 배경 갈라디아서의 배경 바울은 누구인가, 누가 대적자인가 1. 서론 갈라디아서는 저자가 바울이라는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로마서와 더불어, 비록 축약된 짧은 서신서지만, 바울 신학의 근본을 알 수 있는 서신서이다. 특히 이신칭의라는 관점에서 복음과 믿음, 그리고 의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갈라디아서 서신서에 대한 관심 중 중요한 것은 갈라디아서의 수신자가 누구이고 왜 서신서를 보내야만 했는가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고, 따라서 상당히 다양한 견해가 있다. 특히 갈라디아서의 수신자인 갈라디아 교회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에 대한 견해는 크게 다르다. 즉, 전통적으로는 북갈라디아 지방의 교회라는 의견이 오랜 세월 동안 유지되어 왔으나, 최근 학자들은 남갈라디아설을 주장하며, 비시디아 안디옥, 루스.. 2017.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