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단 지파는 포기하였다.
본문 : 여호수아 19:24-51
24. ○다섯째로 아셀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25. 그들의 지역은 헬갓과 할리와 베덴과 악삽과
26. 알람멜렉과 아맛과 미살이며 그 경계의 서쪽은 갈멜을 만나 시홀 림낫에 이르고
27. 해 뜨는 쪽으로 돌아 벧 다곤에 이르며 스불론을 만나고 북쪽으로 입다 엘 골짜기를 만나 벧에멕과 느이엘에 이르고 가불 왼쪽으로 나아가서
28. 에브론과 르홉과 함몬과 가나를 지나 큰 시돈까지 이르고
29. 돌아서 라마와 견고한 성읍 두로에 이르고 돌아서 호사에 이르고 악십 지방 곁 바다가 끝이 되며
30. 또 움마와 아벡과 르홉이니 모두 스물두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
31. 아셀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 마을들이었더라
32. ○여섯째로 납달리 자손을 위하여 납달리 자손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33. 그들의 지역은 헬렙과 사아난님의 상수리나무에서부터 아다미 네겝과 얍느엘을 지나 락굼까지요 그 끝은 요단이며
34. 서쪽으로 돌아 아스놋 다볼에 이르고 그 곳에서부터 훅곡으로 나아가 남쪽은 스불론에 이르고 서쪽은 아셀에 이르며 해 뜨는 쪽은 요단에서 유다에 이르고
35. 그 견고한 성읍들은 싯딤과 세르와 함맛과 락갓과 긴네렛과
36. 아다마와 라마와 하솔과
37. 게데스와 에드레이와 엔 하솔과
38. 이론과 믹다렐과 호렘과 벧 아낫과 벧 세메스니 모두 열아홉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
39. 납달리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 마을들이었더라
40. ○일곱째로 단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 그들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41. 그들의 기업의 지역은 소라와 에스다올과 이르세메스와
42. 사알랍빈과 아얄론과 이들라와
43. 엘론과 딤나와 에그론과
44. 엘드게와 깁브돈과 바알랏과
45. 여훗과 브네브락과 가드 림몬과
46. 메얄곤과 락곤과 욥바 맞은편 경계까지라
47. 그런데 단 자손의 경계는 더욱 확장되었으니 이는 단 자손이 올라가서 레셈과 싸워 그것을 점령하여 칼날로 치고 그것을 차지하여 거기 거주하였음이라 그들의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서 레셈을 단이라 하였더라
48. 단 자손의 지파가 그에 딸린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들의 마을들이었더라
49. ○이스라엘 자손이 그들의 경계를 따라서 기업의 땅 나누기를 마치고 자기들 중에서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기업을 주었으니
50. 곧 여호와의 명령대로 여호수아가 요구한 성읍 에브라임 산지 딤낫 세라를 주매 여호수아가 그 성읍을 건설하고 거기 거주하였더라
51.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의 지파의 족장들이 실로에 있는 회막 문 여호와 앞에서 제비 뽑아 나눈 기업이 이러하니라 이에 땅 나누는 일을 마쳤더라
묵상 :
본문에는 아셀 지파, 납달리 지파, 단 지파에 대한 땅의 분배가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중 단 지파의 경우 다른 지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기록이 있다.
본문 47절.
“그런데 단 자손의 경계는 더욱 확장되었으니 이는 단 자손이 올라가서 레셈과 싸워 그것을 점령하여 칼날로 치고 그것을 차지하여 거기 거주하였음이라 그들의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서 레셈을 단이라 하였더라”
이 부분만 보면 단 지파는 분배받은 땅을 넘어 더 많은 땅을 차지하여 마치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시킨 것처럼 보인다.
긍정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사기에서는 이 당시 단 지파의 이주를 부정적으로 그리고 있다.
아모리 족속에 의해 단 지파가 쫓겨났다는 것이다.
어떤 것이 맞는 내용일까?
왜 여호수아서와 사사기는 단 지파의 이주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히브리 원문을 살펴보면...
“ויצא גבול בני דן מהם ויעלו בני דן וילחמו עם לשם וילכדו אותה ויכו אותה לפי חרב וירשו אותה וישבו בה ויקראו ללשם דן כשם דן אביהם׃”
“단 벤 게불 민 야차 단 벤 알라 레셈 라함 에트 헤레브 페 니카 에트 야랴쉬 야샤브 아브 단 셈 레셈 단 카라”
라고 되어 있다.
본문의 ‘확장되었으니’는 히브리어로 ‘야차’(יצא)라는 단어로 ‘나가다’, ‘떠나다’, ‘도망가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깐 ‘단 자손의 경계는 더욱 확장되었으니’를 직역하면 ‘단 자손이 경계에서 나갔다’ 혹은 ‘단 자손이 경계에서 떠났다, 도망갔다’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원문대로 해석하면 여호수아에서도 단 지파의 이주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새번역에서는 이 부분을...
“그러나 단 자손은 그들의 땅을 잃었을 때에 레센까지 올라가서, 그 주민들과 싸워 칼로 쳐서 무찌르고, 그 곳을 점령하였다. 그들은 거기에 살면서, 그들의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 레센을 단이라고 불렀다.”
...라고 번역하였다.
히브리 원문, 그리고 사사기의 증언, 그것을 바탕으로한 새번역의 번역을 봤을 때...
단 지파는 영토를 확장한 것이 아니라, 분배받은 땅을 제대로 차지하지 못한 채, 아모리 족속에게 쫓겨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단 지파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을 끝내 쟁취하지 못하고 포기해 버렸다.
아모리 족속의 힘에 두려움을 느껴 분배받은 땅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이다.
시므온 지파가 죄악으로 애초에 제대로 땅을 분배받지 못했다면, 단 지파는 주어진 땅도 차지하지 못하고 포기해 버리는 잘못을 저지른 것이다.
단 지파가 강하신 하나님을 믿고 끝까지 담대하게 아모리 족속과 대적했어야 했다.
그렇지 못한 아쉬움이 너무나 크다.
순종은 내 처지에 맞춰서 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할 수 있으니깐, 여건이 되니깐, 충분한 힘이 있으니깐 순종하는 것이 아니다.
어려워도, 힘들어도, 가진 것이 없어도, 곧 실패할 것 같아도...
그럼에도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으며 말씀을 따르는 것이 진정한 순종이다.
내 처지를 보지 말고 강하신 하나님을 믿자.
환경을 보지 말고 하나님께서 주신 비전을 생각하자.
불가능을 가능으로, 실패를 성공으로, 패배를 승리로 이끌어 주실 놀라우신 하나님을 믿음으로 나아가자.
설교가 아닌 개인의 묵상입니다.
💒온라인교회, '사람이교회'와 함께하기 원하시는 분은 아래 메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saramichurch@naver.com
'말씀 묵상(구약) > 06 여호수아 묵상(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여호수아 21:1-19) (0) | 2025.02.07 |
---|---|
미워함이 없는 부지 중에...(여호수아 20:1-9) (0) | 2025.02.07 |
가장 작은 지파가 된 시므온 지파.(여호수아 19:1-23) (0) | 2025.02.06 |
느슨해져 버렸다.(여호수아 18:1-28) (0) | 2025.02.06 |
진실로 중요한 것은? (여호수아 17:7-18) (0) | 2025.02.04 |
댓글